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 금리 청년도약계좌 연봉 5800넘어서 신청 가능

by 티스토어김사장 2024. 3. 9.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신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서울 중구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에 청년도약계좌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금융위원회는 매달 70만원씩 모으면 목돈 5000만원을 만들어주는 청년도약계좌 범위 대상을 중위소득 '180% 이하'에서 '250% 이하'로 대폭 완화한다고 밝혔다.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다. 1인 가구의 경우 연소득이 5800만원을 넘어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

반기문 국무조정실장은 4일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사전 브리핑에서 청년 자산형성 지원 강화를 위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가구소득 중위 180%에서 250% 이하로 대폭 완화한다고 밝혔다. 또 청년 생애주기에 맞춰 3년 이상 유지한 경우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를 적용해 정부기여금을 일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가입 시점에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라도 전전년도 과세기간 소득을 기준으로 비과세를 적용한다. 또 한시적으로 육아에 전념 중인 청년가구 지원을 위해 소득이 없고 육아휴직 급여가 있는 청년도 가입을 허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혼인·출산을 특별중도해지 사유로 인정해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를 모두 지원하게 된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해당 요건을 완화하게 된 배경에 대해 "1인 가구의 경우 가구소득 요건이 현재 4200만원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최근 청년들의 수요를 파악한 바 있는데 지난 2월 설문조사를 보면 상당히 많은 청년들이 가구소득 요건과 관련해 완화해주길 바라는 상태"라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부유한 사람이 받게 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1인 가구의 경우 중위소득 250% 이하를 따져보면 연소득 5834만원이 된다"며 "굉장히 부유한 사람으로 보기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 자산 형성과 관련해 어려운 사람들을 좀 더 많이 돕는 것이 맞지만 일반적인 청년들도 자산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혜택을 주는 것이 청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